본문 바로가기
시와 감상

저 혼자 공중에서 오래 우는 이가 있다 [조영란]

by joofe 2022. 2. 5.

 

 

 

저 혼자 공중에서 오래 우는 이가 있다 [조영란]

 

 

 

 

불 꺼진 지 오래

누군가 날 잊는다 해도 서러워할 일은 아닌데

먼 데서 풍경이 운다

 

아슬아슬한 바람에게

담보도 없이 덜컥 주어버린 웃음이

허공에 눈물을 매달아놓은 것과 무관하지 않다고

기어이 풍경이 운다

 

침묵을 부르는 소리도 있다

절규란 그런 것,

전부였지만

전부를 걸 수 없어 혼자 흐느끼는 소리의 집

바람은 단지 지나갈 뿐인데

체온을 잃고

저 혼자 공중에서 오래 우는 이가 있다

 

기억할 처음이 없다는 건

기약할 다음도 없다는 것

 

돌아갈 수도 멈출 수도 없어

스스로 제 낡은 몸을 떨어뜨리는 눈물

녹슨 풍경에게

묻는다

 

왜 울었을까

왜 울었을까

 

       - 나를 아끼는 가장 현명한 자세, 시인동네, 2020

 

 

 

 

* 지금 사는 집은 47층 아파트의12층이다.

내 윗집들은 나처럼 고소공포증은 없는 걸까.

나의 경우엔 12층도 아주 높아서 공중에 떠서 밥을 먹고 공중에 떠서 잠을 자는 것 같다.

오랜만에 서울을 갈라치면 한강을 두고 공중으로 빙그르르 올라갔다가 돌아돌아서

한강다리를 건너게 된다.

공중을 나는 새도 아니고 거미줄에 걸린 거미도 아니고

아뭏든 공중에서 정신이 혼미하게 산다.

 

인간은 태어날 때 울면서 세상에 나온다.

살기 위해 우는 것이지만 한몸에서 떨어져 고독한 혹은 독립된 인간이 되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.

산다는 게 마냥 웃을 수 있는 건 아니기 때문이다.

울다가 웃으면 학문(!)이 어떻게 된다고들 하던데

울다가 웃다가, 웃다가 울다가 공중부양한 채 살아간다.

산다는 게 늘 함께일 수는 없기 때문이다.

때로는 화목하고 즐겁고 때로는 외롭고, 슬프고, 괴롭고,아프고

희노애락의 삶을 산다.

중요한 건 세상을 떠날 때다.

울면서 떠날지 웃으면서 떠날지 혹은 잠든 채 떠날지......

 

왜 울었을까, 묻지 말자.

'시와 감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시인의 덕목 [황옥경]  (0) 2022.02.05
노랫말처럼 [김행숙]  (0) 2022.02.05
종점 의자 [김수우]  (0) 2022.02.04
호두에게 [안희연]  (0) 2022.02.04
희나리에 대하여 [오태환]  (0) 2022.02.04